참조투명성
준수
ROP 를 적용하게 되면 로직에서의 기대값은 성공타입
/ 실패타입
만 존재한다.
컨테이너
안으로 값을 승급하고 어떤 규칙을 정해 통제한다는 생각으로 자료형을 생성객체로서 객체 내의 각 값을 실행할때 **같은 객체를 return
**하는 map interface 를 구현
[].map(x : x * 2)
list 역시 함수자의 일종
이러한 원리 때문에 method channing 이 가능 + 확실한 타입 보장
data.map(...).filter(...).filter(...).map(...)
# 이게 가능한 이유는 map과 filter 가 [] 를 return 하기 때문